조명기구 | |||||||||||||||||||||||||||||||||||||||||||||||||||||||||||||||||||||||||||||||||||||||||||||||||||||||||||||||||||||||||||||||||||||||||||||||||||||||||||||||||||||||||||||||||||||||||||||||||||||||||
Spot Light에는 렌즈(Lens)에 따라 Fresnel Spot Light와 Plano Convex Spot Light 그리고, Open Faced Light등으로 나눌 수 있다. Spot Light는 강한 빔(Beam)을 가진 Light로서 주로 키라이트나 백 라이트로 사용되 며 필터(Filter)를 이용하여 필라이트로 사용하기도 한다.
1-1. Fresnel Spot
Light |
|
|
| |
凸렌즈 |
Fresnel 렌즈 |
凸 렌즈 효과 |
Fresnel 렌즈 효과 |
RDS 구형 500w, 1Kw, 2Kw
3Kw
RDS 신형 650w, 1Kw, 2Kw
RRIMO 2kw, Colortran
500w
|
LPS-10A |
LPS-15A |
LPS-20A |
LPS-30A |
LPS-50A |
Lens |
6” |
8” |
8” |
10” |
10” |
Lamp |
RP40 1KW |
GSE15-32L 1.5KW RP40 1KW |
RP41 2KW |
BSE30-32 3KW |
RP29 5KW |
Socket |
G-22 medium bipost |
G-22 medium bispot |
G-38 mogul bispot |
G-38 mogul bispot |
G-38 mogul bispot |
Cable |
2 square 3 cores |
2 square 3 cores |
3.5 square 3 cores |
5.5 square 3 cores |
14 square 3 cores |
Weight |
5.8kg |
7.6kg |
7.8kg |
11.7kg |
13.8kg |
[ PRIMO 기구의 재원]
소용량의 등기구로서 Eye Light의 용도로 적합하며 주로 사극
드라마용으로 많이 쓰인다.
색온도가
기존의 할로겐 램프 (Halogen Lamp)보다 약간 높으며 딤머(Dimmer)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고, 별 도의 전원 공급장치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
|
POLARIS (STRAND)
-
1KW |
CASTOR
(STRAND) -
2KW |
Open Faced Light는 렌즈가 없고 Doubled Ended Lamp를 사용하는데 Wattage에 비해 출력이 높으 며 무게가 가볍고 휴대하기 편하다. ENG 대담용으로 사용하기 용이하나 빔이 균일하지 않아서 정교 한 조명을 요하는 프로그램에는 사용하기 어렵다.
Red Head
Uni Focus
일반적으로 PIN Light라 부르며 쇼(Show) 조명에서 인물을 따라 다니는 조명기구로 보통 스탠드 위 에 설치하여 수동으로 움직인다. 사용하는 램프에 따라 색온도가 다르지만 할로겐 램프보다 색온도가 높고 밝기가 뛰어나 특정부위를 강조할 때 많이 사용한다. 단점은 무게가 무거워 이동하기가 힘들며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가 필요하고 전원 공급 후 정상적인 출력이 나오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할로겐 램프와는 달리 색온도가
Day
Light와 동일하여 야외용으로 적당하며 램프의 와트에 비해 출 력이 상당히 높아 효율적이며 발열이
상대적으로 적으나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가 있어야 하므로 무 게가 무거워 이동할 때 힘이
든다.
|
SMT-5 |
SMT-12 |
SMT-25 |
SMT-40 |
Lens |
8" fresnel lens |
10" fresnel lens |
14" fresnel lens |
16" fresnel lens |
Lamp |
HMI-575W |
HMI-1200W |
HMI-2500W |
HMI-400W |
Cable |
복합7심 code 0.16M |
복합7심 code 0.23M |
복합7심 code 0.23M |
복합7심 code 0.23M |
Weight |
9Kg |
14Kg |
28Kg |
37Kg |
[ HMI Light의 재원
]
|
모델명 : Sirio 1200W 램프 : Double Ended HMI LAMP |
강한 빔 때문에 무대용으로 많이 써왔으며 빔을 자르기가 용이하고 다양한 모양을 만들 수 있 어서 스튜디오에서는 터치용이나 간이용 핀 조명효과를 낼 수 있으며 Gobo Changer나 Color Changer를 이용하면 보다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Source-4 (575w)
Robert Juliet (2Kw)
소프트 라이트는 빔이 넓은 범위를 균일하게 비춰주기 때문에 무대 전체를 비추거나 큰 세트를 조명하기에 적당하며 램프는 Double Ended Lamp를 사용한다.
2-1. Broad Light (
1kw, 2kw )
소프트 라이트의 하나로서 기구가 작기 때문에 작은 세트를
조명하는데 적합하며 소형 경량으로 드라마 조명의 베이스 라이트로 많이
사용된다.
렌즈가
없으며 램프는 2개까지 사용할 수 있다.
2-2. Soft Light (
1Kw, 2Kw, 3Kw, 4Kw )
직사각형 모양으로 기구가 크며 반사경의 면적이 넓고 램프앞에 반투명 렌즈가 있어 빛이 부드러워 넓은 무대나 세트를 균일하게 비추는데 적당하다. 램프의 수에 따라 2Kw와 4Kw가 있다.
2-3. Cyc Light (
1Kw )
이 조명기구는 반사판의 디자인을 특수하게 만들어서 호리존트(Horizont) 부분을 균일하게 비출 수 있 도록 특별히 고안된 기구로서 사이클로라마 라이트(Cyclorama Light)의 줄인 말이며 호리존트 라 이트라고도 하는데 매달려 있는 위치에 따라 Upper Horizont, Lower Horizont라고 도 한다.
l Horizont
: 스튜디오 안 4면의 벽중에 3면의 벽을 이음 없이 특수설비로 만들어 놓고 있는데 여기에 일정한 채도와 명도를 나타내는 페인트 칠을
해서 적당한 조명을 주면 파란 하늘과 무한한 공간처럼 이용할 수 있다. 이런 3면의 벽을 호리존트라고
한다.
2-4. Scope Light ( 1Kw
)
다른 소프트 라이트의 램프는 Double Ended Stripe Type이지만 Scope Light의 램프는 Bulb Screw Type이어서 전구의 표면적이 넓으며 반원형의 반사경으로 되어 있어 효율이 좋다. 마 당 Scene과 같은 넓은 면적을 균일하게 비추는데 적당하다.
Sealed Beam Type의 램프로 램프, 렌즈, 반사경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며 강한 빔이 나오기 때 문에 주로 쇼에서 많이 사용하거나 터치용으로 기둥 같은 것을 살리는데 많이 사용한다.
Wattage용량에 비하여 출력이 높으며 열이 거의 없어서 장시간 동안 넓은 면적을 골고루 비춰주 는데 적 합하며 주로 생방송 시 비상용으로 UPS에 물려서 사용하거나 사이버 스튜디오 조명용으 로 쓰인다.
일종의 효과장비로서 자체가 빛을 발하는 것이 아니라 모터를 이용하여 돌려주면 다른 조명기구 의 빛을 받아서 반사하며 주로 쇼에 사용된다.
6-1.
렌즈
1) Fresnel Lens
Spot Light
2) Plano convex Lens
Follow Spot
Source 4
3)일체형 Lens
Par Light
6-2.
램프
1) 램프의 종류
bulb type
screw type
single type
double type
double ended type
2) 램프의 구성
Bulb
Filament
Base
6-3.
반사경 ( Reflector )
1) Spherical Reflector
Spot Light
2)Ellipsoidal Reflector
Source 4
3)Parabolic Reflector
Par Light
4) 복합형 Reflector
Cyc Light
6-4.
차광판 ( Barndoors )
6-5.
본체
6-6. 전원 케이블 및 플러그 ( Cable & Plug )
7-1. 확산 필터 ( Diffusion Filter
)
확산 필터란 빛을 부드럽게 확산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사용 목적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빛을 확산시켜 부드러운 빛을 만드는 경우
스튜디오에서 조명을 할 때 빛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조명 기구가 있다.(broad, soft 등)
그러나, 이 기구들은 인물에 사용하는 기구가 아니고 무대나 세트 등을 균일하게 비추
기 위해 사용 하는 용도로 만들어진
기구이다. 그래서, Spot Light로 부드러운 확산광을 얻고자
할 때는 확산 필터 를 기구 앞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확산 필터도 여러 가지가 있으므로 용도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한 다.
Filter 명칭 |
Transmission |
Full White Diffusion(216) |
36% |
3/4 White Diffusion(416) |
50% |
1/2 White Diffusion(250) |
60% |
1/4 White Diffusion(251) |
80% |
1/8 White Diffusion(252) |
88% |
Heavy Frost(129) |
25% |
White Frost(220) |
40% |
[
확산 필터의 종류 ]
2) 인물에 들어가는 빛이 너무 강한 경우
키라이트로
인물 조명을 할 때는 피사체와 2~4m 떨어져서 조명을 하는데 기구의 용량이 너무
크다 든지 스튜디오 여건상
가까이에서 조명 기구를 사용해야 할 때 조도를 떨어뜨리는 동시 에
부드러 운 빛을 얻기 위해서 조명 기구 앞에 확산 필터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칼라 TV
방송 에서 조도를 낮추기
위해 확산 필터 대신에 딤머를 이용하여 전압을 떨어뜨리면 색온도가
변해서
색재현이 제대로 안 된다.
그래서,
기구와 피사체의 거리를 조절하든지 확산필터를 사 용해
야 한다.
7-2. 색필터 ( Color Filter
)
화이트 조명을 주로 하는 프로그램에서는(Drama, Talk Show, News 등) 거의 사용하진 않지만 연극, 뮤지컬, TV 쇼 등을 하는 프로그램에서 필수적인 필터이다.
칼라 필터의 조건으로는 넓은 면적으로 균일한 색을 낼 것
투과율이 높고 빛이 선명할 것
내열성이 좋고 내광성이 좋을 것
견고성이 우수할 것
가공하기 용이할 것
등을 들 수
있다.
칼라 필터의
종류에는
1) 젤라틴 필터 ( Gelatin Filter )
칼라 필터의
총칭으로 불리워질 만큼 오랫동안 널리 사용된 필터인데
젤라틴이라는
아교질 을
정제하여 여기에
색상을 착색한 것으로 수용성이어서 수성 염료와
잘 어울리기
때문에 칼라 를 만들기가 가장
용이하다. 그러나, 습기에 약하고
특히 열에 대한 색의 변질이
심한 단점이 있다.
2) Glass Filter
내열성
유리에 색상을 착색한 것으로 퇴색이 잘 안되고 더러워지면 닦아서 사용할 수 있는
장 점이 있지만,
칼라 종류가 다양하지 못하며(주로 원색 계통) 무겁고
파손되기쉬운
단점이 있어
널리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3) Plastic
Filter
이 필터는 과거에는 필터의 두께(투과율이 떨어짐), 착색 기술(청색, 자색)의
미숙으로
사용 하기 어려웠으나,
현재는 그런 문제들이 기술 개발로 해결되고 있으며 투과율도좋고
착색도 자유로이 할 수 있어서
요즈음은 칼라 필터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Plastic Filter는 이초산섬유소(Diacetyl Cellulose)로 만들어져 표면의 투명도가
매우좋다.
7-3. 색
변환 필터
흑백의 영상에서는 광원의 색온도와 아무런 관계가 없으며 다만 광량에 따라서 콘트라스트
(Contrast)가 달라지나, 칼라 영상에서는 광원의 색온도가
다르면 같은 색상이라도 다른 색으로 보이 며 이렇게 다른 광원의
색온도를 맞추기 위해서 사용하는 필터를 Conversion Filter라 하고 색온도를
올리려면 청색(Blue)계통, 색온도를 내리려면 오렌지색(Orange)계통을
사용한다.
필터 명칭 |
색 온도 변화(K) |
Mireds수치 변화 |
광량 손실(Stop) |
Transmission |
Full CTO(204) |
5500->2900 6500->3200 3200->2200 |
+167 |
2/3 |
55.4% |
1/2 CTO(205) |
5500->3800 4400->3200 3200->2500 |
+81 |
1/2 |
70.8% |
1/4 CTO(206) |
5500->4500 3800->3200 3200->2800 |
+42 |
1/3 |
79.1% |
1/8 CTO(223) |
5500->4900 3400->3200 3200->3150 |
+20 |
1/3 |
85.2% |
[ CTO (Color Temperature Orange) ]
필터 명칭 |
색 온도 변화(K) |
Mireds수치 변화 |
광량 손실(Stop) |
Transmission |
Full CTB(201) |
3200->5500 |
-131 |
1-1/2 |
30.4% |
1/2 CTB(202) |
3200->4100 |
-68 |
1 |
54.9% |
1/4 CTB(203) |
3200->3500 |
-30 |
1/2 |
69.2% |
1/8 CTB(218) |
3200->3300 |
-12 |
1/3 |
81.3% |
[ CTB (Color Temperature Blue) ]
236 : HMI -> Tungsten
237 : CID -> Tungsten
238 : CSI -> Tungsten
7-4.
ND(Neutral Density) Filter
색 온도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광량 만을
감소시키는 ND 필터는 눈밭이나 해변가 창을 배경으로 서있는
인물 등 매우 밝은 장소에서 노출을 줄이기 위해, 또는 원하는 심도를 구 하고자 할
때 사용하다.
실내와
실외의 조도 차이가 너무 클 때 실내의 조도를 높이는데는 한계 가 있으므로 실내는
적절한 조도를 유지시킨 다음 ND 필터를 이용하여 실외의 조도를
낮추는 것이 일반적인 사
용방법이다.
ND 필터는 색은 없으나 스펙트럼상의 전 파장에 걸쳐 광량을 고
르게 감소시켜 서 조도를 낮추는
필터이다.
Neutral Density의 수치를 구하는 방법은
Transmission Factor의 역수에 로그함수를 대입하면 필요
한 값을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량을 50%만 통과시키고 싶을 때는 0.5의 역수는
2이고 Log2는 0.3이므로 0.3 ND 필터를 사용하면 필요한
광량을 얻을 수 있다.
필터 명칭 |
Transmission |
광량 손실 |
0.15 ND (298) |
66% |
1/2 stop |
0.3 ND (209) |
50% |
1 stop |
0.6 ND (210) |
25% |
2 stop |
0.9 ND (211) |
12% |
3 stop |
1.2 ND (299) |
6% |
4 stop |
[ ND(Neutral Density)
Filter ]
밝은 창 앞에 서있는 인물에 조명을 할 필요가 있을 때는 뒷 배경이 실내의 인물에 비해
눈으로 보기에 는 별 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카메라를 통해서 보면 광량 차이로 인하여 창 밖이 너무 밝아 실외
의 배경이 전혀 보이지 않게 되므로 실내와 실외를 적절하게 광량을 조절해 줄
필요가 있는데 인물에 주는 광량을 실외와 비슷하게 하려면 엄청나게
높은 용량의 조명기구를
사용해야 하므로 ND 필터를 이용하여 실외의 광량을
떨어뜨리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CTO + 0.3ND (207)
CTO + 0.6ND (208)
Long Stand(RDS pie stand 790,791,792)
Short Stand
Batten 사이의 간격이 1.5m 이므로 길이는 당연히 1.5m 이다.
Code No. |
Min-max length |
허용 부하 |
자체 무게 |
Sprigot & Bushing |
사용 가능한 RDS 기구 |
TH7-6 |
2.2ft - 7ft |
3-6Kg |
3.4Kg |
5/8” |
LPS-10A, LQB-20, UF-6A, UF-10A |
TH7-15 |
2.2ft – 7ft |
7-14Kg |
4.4Kg |
5/8” |
LPS-15A, LPS-20A |
TH11-6 |
3.2ft – 11ft |
3-6Kg |
4.6Kg |
5/8” |
TH7-6과 동일 |
TH11-15 |
3.2ft – 11ft |
7-14Kg |
5.9Kg |
5/8” |
TH7-15와 동일 |
TH7-15R |
2.2ft – 7ft |
7-14Kg |
5.8Kg |
1 1/8” |
TH7-15와 동일 |
TH11-15R |
3.2ft – 11ft |
7-14Kg |
7.3Kg |
1 1/8” |
TH7-15와 동일 |
[
Telescope의 재원 ]
11-1. 기구를 바턴에 고정하는 방법
1) 클램프를 바턴에 매단 후 움직이지 않게 조인다.
2) 전원 케이블을 몇 번 감은 후 체인에 걸어서 바턴에 매단다.
3) 플러그를 바턴 플러그에 꽉 끼운다.
4) 기구를 바턴에서 뗴어 낼 때는 위의
역순으로 한다.
11-2. 기구 이동시 주의 사항
기구의 프레임을 케이블과 함께 잡고서
이동시킨다.
11-3. 램프 교체시 주의 사항
램프는 절대 맨손으로 잡지 말고 깨끗한 장갑을 끼고 될 수 있는대로 램프 베이스 부분을 잡고 교체해 야 하며 맨손으로 할 경우 손에 묻어있는 염분으로 인하여 램프가 열을 받았을 때 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해 폭발할 위험이 있으며 또한 램프를 교체할 때나 그 외의 경우라도 램프를 심하게 흔들 경우 필라 멘트가 끊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램프 교체시 기구를 연 다음 포커스를 최대한 스포트(Spot) 상태로 한후에 램프
락(Lock)을 아 래로 내린 후 램프를
끼워 락을 올리고 포커스를 플러드(Flood) 상태로 돌려준 후 기구를 닫은
다음 램프가 정상인지
확인한다.
11-4. 기구에 불이 들어오지 않을 경우 대응책
예로써 바턴 번호가 No.1이고, 회로 번호가 No.1, 2, 3, 4이고 기구가 회로 1번에 연결되어 있을 때
1) 램프가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2) 1번 바턴에 회로 1번이 여러 개이므로 다른 1번에 연결해 본다.
3) 1번 바턴에 다른 회로인 2, 3, 4번을 연결해 본다.
4) 기구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거나 램프가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5) SCR실에 가서 차단기(Breaker)가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6) 바턴에 있는 Half Plug가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7) 만약 텔레스코프에 연결된 기구일 때는
텔레스코프의 전원 케이블에 이상이 있을 수 있으므 로
케이블을 직접 연결해
본다.